나를 돌보는 글쓰기
- 도서 주제문학
- 제 목나를 돌보는 글쓰기
- 저 자캐슬린 애덤스
- 출판사들녘
- 출판일2023. 07. 14
- ISBN9791159257964
- 이용 대상일반
- 가 격17,000 원
- 수상 내역
- 미디어
- 기관 추천
저널 글쓰기의 장점은 무엇인가?
여러 연구를 통해 집중적인 글쓰기 치료는 적어도 1년 안에, 빠르면 두 달 안으로도 개인의 불안한 생각과 감정을 극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그러나 무조건 글을 쓴다고 해서 이 같은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엔 마음을 다스리면서(마음챙김) ‘의도(본인의 욕구와 결심)’ 설정, ‘관심(마음과 몸, 감정을 훈련하는 데 집중하는 것)’ 기울이기, 그리고 ‘행동하기(규칙적인 글쓰기와 그에 따른 행동변화)’라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비밀이 있다. 존 카밧-진(Jon Kabat-Zinn) 박사는 마음챙김을 “판단하려 하지 않고 그저 특별한 방식으로 현재의 순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정의했는데, 일반적으로 마음챙김 훈련은 명상과 관련이 있다고 여긴다. 하지만 명상이 마음챙김으로 이어지는 유일한 길은 아니다. 워싱턴 DC에 기반을 둔 심리치료사이자 저널치료사로서 자기 주도적 신경가소성 기술인 “잉크 위로 옮겨진 당신의 뇌” 창시한 데보라 로스는 “의도를 가지고 저널을 쓰는 것도 명상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한다. 또한 버그힐드 니나 홀저는 “종이와 이야기하는 것은 신과 이야기하는 것과 같다. 그것은 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것들까지 모두 이해할 수 있는 귀에 대고 말하는 것이다. 종이는 무한히 인내한다.”라고 말했다. 이 모두 개인이 인내심을 갖고 수행하는 내밀하고 꾸준한 글쓰기가 ‘치유, 성장, 변화’에 얼마나 큰 도움이 되는지 말해주는 멋진 경구들이다.
세계적인 저널치료사의 책을 국내 전문가가 옮긴 최고의 글쓰기 책
이 책을 쓴 캐슬린 애덤스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저널치료사로서 베스트셀러작가이자 연설가, 심리치료사이면서 공인 시/저널치료사이며, 비전을 제시하는 사람이다. 첫 번째 책인 『저널치료-자아를 찾아가는 나만의 저널 쓰기』는 30여 년 전에 저널치료 분야를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된 고전이다. 역자인 영문학자 신진범 교수는 미국 “저널 치료 센터”(Center for Journal Therapy)에서 캐슬린 애덤스의 지도로 “저널 치료 강사 자격증”(CIJTTS, 2017)을 취득했고, 한국독서치료학회의 “독서심리상담 전문가 자격증”을 취득(2022)한 전문가이다. 그는 “저널 쓰기와 저널 치료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명료함’을 찾고, 꾸준히 ‘자아 성찰’을 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세계적인 저널치료사인 애덤스는 이 책에서 검증된 여러 저널 기법과 저널 치료와 관련된 다학제적 치료 기법과 원리들을 소개하고, 독자들이 매주 의도를 설정하고 그 의도와 관련된 글쓰기를 할 수 있게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일주일의 글쓰기가 끝나면 한 주의 평가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 책으로 새해부터 글쓰기를 시작해도 좋고 이 책을 접하는 날부터 글쓰기를 시작해도 좋습니다. 중요한 것은 어떤 상황 속에서든 짧더라도 꾸준하게 글을 계속 쓰는 것입니다. 많은 독자가 꾸준히 글을 쓰면서 일상을 살아갈 힘을 얻고, 살아 있다는 현실에 감사하며, 여러 힘든 일들에 잘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과 회복력을 가질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이 책은 불안관리 전략, 인지-행동 기법, 신경과학 원리, 마음챙김 방법 및 저널치료 모범사례에 대한 일 년 치 분량을 담고 있다. 아래 지침을 따르면 이 책으로부터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 당신에게 맞는 속도로 글을 쓰세요. 매일 쓸 필요는 없습니다. 며칠 동안 글을 쓰지 못해도 괜찮습니다. 글감에 따라 순차적으로 글을 쓰다 보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글감마다 약 5분에서 10분 정도 쓰는 것으로 계획하세요. 더 오래, 또는 더 짧게 쓰고 싶다면 그렇게 해도 됩니다.
☞ 글을 쓴 뒤에는 1분에서 2분 정도 할애하여 다시 읽고 느낀 점을 적어보세요.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1주 2일 차)
☞ 나와 관련 없거나 지나치게 자극적이라 여겨지는 글감은 건너뛰어도 괜찮습니다. ‘표현적인 글쓰기’를 연구하는 제임스 페니베이커(James Pennebaker) 박사 역시 만일 정신적으로 위기감을 느낀다면 글쓰기를 멈추라는 ‘플립-아웃 법칙’을 지침으로 하고 있습니다. (3주 6일 차)
☞ 이 책이 아닌 다른 공간에 다양한 방법으로 글을 써보세요. 줄이 그어진 공책 또는 무지 공책에, 디지털 애플리케이션이나 컴퓨터 파일에 쓸 수도 있겠지요. 나중에 다시 찾아볼 수 있도록 페이지에 날짜를 적어보세요. 해당 주차와 몇 번째 날인지도 써두면 도움이 될 거예요.
☞ 당신만 편하다면, 손으로 쓰든 키보드로 타이핑을 하든 상관이 없습니다. 가장 쉽고 내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세요.
이 책에는 또한 다양한 활동이 매주
여러 연구를 통해 집중적인 글쓰기 치료는 적어도 1년 안에, 빠르면 두 달 안으로도 개인의 불안한 생각과 감정을 극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그러나 무조건 글을 쓴다고 해서 이 같은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엔 마음을 다스리면서(마음챙김) ‘의도(본인의 욕구와 결심)’ 설정, ‘관심(마음과 몸, 감정을 훈련하는 데 집중하는 것)’ 기울이기, 그리고 ‘행동하기(규칙적인 글쓰기와 그에 따른 행동변화)’라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비밀이 있다. 존 카밧-진(Jon Kabat-Zinn) 박사는 마음챙김을 “판단하려 하지 않고 그저 특별한 방식으로 현재의 순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정의했는데, 일반적으로 마음챙김 훈련은 명상과 관련이 있다고 여긴다. 하지만 명상이 마음챙김으로 이어지는 유일한 길은 아니다. 워싱턴 DC에 기반을 둔 심리치료사이자 저널치료사로서 자기 주도적 신경가소성 기술인 “잉크 위로 옮겨진 당신의 뇌” 창시한 데보라 로스는 “의도를 가지고 저널을 쓰는 것도 명상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한다. 또한 버그힐드 니나 홀저는 “종이와 이야기하는 것은 신과 이야기하는 것과 같다. 그것은 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것들까지 모두 이해할 수 있는 귀에 대고 말하는 것이다. 종이는 무한히 인내한다.”라고 말했다. 이 모두 개인이 인내심을 갖고 수행하는 내밀하고 꾸준한 글쓰기가 ‘치유, 성장, 변화’에 얼마나 큰 도움이 되는지 말해주는 멋진 경구들이다.
세계적인 저널치료사의 책을 국내 전문가가 옮긴 최고의 글쓰기 책
이 책을 쓴 캐슬린 애덤스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저널치료사로서 베스트셀러작가이자 연설가, 심리치료사이면서 공인 시/저널치료사이며, 비전을 제시하는 사람이다. 첫 번째 책인 『저널치료-자아를 찾아가는 나만의 저널 쓰기』는 30여 년 전에 저널치료 분야를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된 고전이다. 역자인 영문학자 신진범 교수는 미국 “저널 치료 센터”(Center for Journal Therapy)에서 캐슬린 애덤스의 지도로 “저널 치료 강사 자격증”(CIJTTS, 2017)을 취득했고, 한국독서치료학회의 “독서심리상담 전문가 자격증”을 취득(2022)한 전문가이다. 그는 “저널 쓰기와 저널 치료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명료함’을 찾고, 꾸준히 ‘자아 성찰’을 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세계적인 저널치료사인 애덤스는 이 책에서 검증된 여러 저널 기법과 저널 치료와 관련된 다학제적 치료 기법과 원리들을 소개하고, 독자들이 매주 의도를 설정하고 그 의도와 관련된 글쓰기를 할 수 있게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일주일의 글쓰기가 끝나면 한 주의 평가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 책으로 새해부터 글쓰기를 시작해도 좋고 이 책을 접하는 날부터 글쓰기를 시작해도 좋습니다. 중요한 것은 어떤 상황 속에서든 짧더라도 꾸준하게 글을 계속 쓰는 것입니다. 많은 독자가 꾸준히 글을 쓰면서 일상을 살아갈 힘을 얻고, 살아 있다는 현실에 감사하며, 여러 힘든 일들에 잘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과 회복력을 가질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이 책은 불안관리 전략, 인지-행동 기법, 신경과학 원리, 마음챙김 방법 및 저널치료 모범사례에 대한 일 년 치 분량을 담고 있다. 아래 지침을 따르면 이 책으로부터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 당신에게 맞는 속도로 글을 쓰세요. 매일 쓸 필요는 없습니다. 며칠 동안 글을 쓰지 못해도 괜찮습니다. 글감에 따라 순차적으로 글을 쓰다 보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글감마다 약 5분에서 10분 정도 쓰는 것으로 계획하세요. 더 오래, 또는 더 짧게 쓰고 싶다면 그렇게 해도 됩니다.
☞ 글을 쓴 뒤에는 1분에서 2분 정도 할애하여 다시 읽고 느낀 점을 적어보세요.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1주 2일 차)
☞ 나와 관련 없거나 지나치게 자극적이라 여겨지는 글감은 건너뛰어도 괜찮습니다. ‘표현적인 글쓰기’를 연구하는 제임스 페니베이커(James Pennebaker) 박사 역시 만일 정신적으로 위기감을 느낀다면 글쓰기를 멈추라는 ‘플립-아웃 법칙’을 지침으로 하고 있습니다. (3주 6일 차)
☞ 이 책이 아닌 다른 공간에 다양한 방법으로 글을 써보세요. 줄이 그어진 공책 또는 무지 공책에, 디지털 애플리케이션이나 컴퓨터 파일에 쓸 수도 있겠지요. 나중에 다시 찾아볼 수 있도록 페이지에 날짜를 적어보세요. 해당 주차와 몇 번째 날인지도 써두면 도움이 될 거예요.
☞ 당신만 편하다면, 손으로 쓰든 키보드로 타이핑을 하든 상관이 없습니다. 가장 쉽고 내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세요.
이 책에는 또한 다양한 활동이 매주